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469

[기독교 신간]하나님이 당신을 응원합니다 / 오대식

[기독교 신간]하나님이 당신을 응원합니다 / 오대식하나님이 당신을 응원합니다 - 값싼 위로 대신 값진 진리로, 개정판 오대식 (지은이)생명의말씀사 2019-06-28 조용한 응원이 있다. 깊은 응원이 있다. 소리만 울려 공허한 응원이 아닌 진리로 가득 찬 응원이 있다. 저자는 우리가 어디서 힘을 얻어야 하는지, 무엇이 우리에게 이 세상을 살아갈 용기를 주는지 고민하며 성경 말씀 속에서 그 해답을 찾았다. 우리의 힘은 오직 말씀 안에서,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바로 설 때 나온다는 가장 쉽고도 명쾌한 해답을 말이다. 우리의 믿음이 하나님의 기준이 아닌 세상의 기준에 맞춰져 있다면 그 어떤 말로도 사람의 아픈 마음을 위로하지 못한다. 오직 바른 믿음을 가질 때만이 여기저기에 놓여 있는 하나님의 사랑과 응원의 .. Book 2019. 6. 30.

[기독교 신간] 왕을 기다리며 / 제임스 스미스 /ivp

[기독교 신간] 왕을 기다리며 / 제임스 스미스 /ivp 제임스 스미스의 이다. 원제는 Awaiting the King: Reforming Public Theology 이다. 새로운 공공신학에 대한 책이다. 교회와 민주주의 관계를 잘 짚어 준다. 미국 캘빈 칼리지 철학과 교수인 제임스 K. A. 스미스가 쓴 책으로, 그가 집필한 "문화적 예전 시리즈" 3부작 가운데 마지막 책이다. 문화적 예전 시리즈는 '욕망하는 인간', '예배하는 인간'이라는 인간관에 초점을 맞추고 우리가 늘 경험하는 문화가 가진 예전적 성격을 포착하며 동시에 기독교적 실천이 어떻게 가능한지 철학, 예배, 정치라는 관점에서 분석한 시리즈로, 출간 이후 미국 복음주의권에서 계속해서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이 시리즈의 1, 2권은 각각 『.. Book 2019. 6. 30.

[기독교 고전읽기] 루터의 십자가 신학

[기독교 고전읽기] 루터의 십자가 신학 Crux Sola Est Nostra Theologia 십자가만이 우리의 신학이다. 1. 역사적 배경 십자가 신학은 1518년 하이델베르크 논쟁에서 제시한 논제에 담겨 있습니다. 1517년 10월 31일, 루터가 95개조를 발표한 뒤 한 해가 지나 새로운 논쟁이 일어났습니다. 그 여정을 간략하게 살펴봅시다. 전체적인 흐름은 이전에 소개한 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이곳에서는 신학적인 부분만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502년 색소니의 선제후 프리드리히는 라이프치히 대학과 경쟁할 대학을 자신의 영지 안에 세웁니다. 교회를 허락을 받지 않아 교회의 지원을 전혀 받을 수 없었습니다. 당시 대부분의 대학들이 교회의 고위직 성직자들을 명예총장(chancellor)로 두며 지원을.. Book/국민일보 2019. 6. 30.

[기독교 고전읽기] 마르틴 루터의 생애(Ⅲ)

[기독교 고전읽기] 마르틴 루터의 생애(Ⅲ) 루터의 생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기는 제2기에 속하는 1517-1525년입니다. 1517년은 루터가 95개조를 발표하여 종교개혁에 불을 지핀 사건이며, 1525년은 루터의 유배생활과 더불어 농민전쟁이 일어나 루터의 입지가 위태로워지는 시간입니다. 또한 루터가 가장 왕성하게 활동한 시간이며, 후대의 종교개혁자들이 힘을 쓸 수 있도록 신학적 작업을 이룬 시간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농민전쟁을 통해 명백히 루터가 루터일 수밖에 없는 이유를 드러내고 말았습니다. 가장 왕성하고 중요한 시기를 단지 몇 페이지로 요약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 보입니다. 후에 루터의 저작들을 검토하면서 왜 루터가 그런 결정들을 할 수 밖에 없었는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루터는 창의적 .. Book/국민일보 2019. 6. 30.

[기독교 고전읽기] 마르틴 루터의 생애(Ⅱ)

[기독교 고전읽기]  마르틴 루터의 생애(Ⅱ)   제2기 : 종교개혁 시작과 발전(1517-1525) 1512년 루터 나의 28에 박사학위를 취득합니다. 루터의 박사학위는 단순한 명예직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정식적인 성경 강해자요 권위 있는 성경 해석자가 된다는 말입니다. 하나님의 특별한 섭리 가운데 루터는 교수의 다양한 사역 중에서 성경을 주해하는 일에 집중하게 됩니다. 1513년부터 2년 동안 시편을 강해했고, 1515년부터 로마서와 갈라디아서를 강해하기에 이릅니다. 1517년부터는 1518년까지 히브리서를 주해합니다. 시편과 로마서, 그리고 갈라디아서를 주해하는 과정 속에서 ‘하나님의 의’에 대해 점점 명확한 이해를 갖게 됩니다. 1518년 하이델베르크 논쟁에서 루터는 그의 신학 중에서 핵심 중의.. Book/국민일보 2019. 6. 30.

[기독교 고전읽기] 마르틴 루터의 생애(Ⅰ)

[기독교 고전읽기] 마르틴 루터의 생애(Ⅰ) 들어가면서 “내가 어떤 의미에서 이 책을 자서전이라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면 독자들은 놀랄 것이다. 내가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오르테가 가세트가 말한 바와 같이 각 세대를 마치 거대한 인간 피라미드에서처럼 이전 세대들의 어깨 위에 서 있는 곡예사들과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의 선배들과 선조들의 이야기를 한다는 것은 곧 우리 자신의 생애에 관한 전기에 긴 서문을 쓰는 것과 같다.” 종교개혁사를 시작하면서 유스토 곤잘레스가 남긴 말입니다. 그렇습니다. 선조들이면서 선배들인 종교개혁가들을 배운다는 것은 곧 그리스도인으로 우리 자신의 일부를 배우는 것입니다. 한국교회 개신교도이며, 그리스도인이라면 종교 개혁가들이야말로 직접적인 영적 선조요, 선배들이라 할 수 있습.. Book/국민일보 2019. 6. 30.

[기독교 고전읽기] 칼뱅, 종교개혁의 필요성을 주창하다.

칼뱅, 종교개혁의 필요성을 주창하다.De necessitate reformanda Ecclesia *이 글은 마이트웰브에 기고한 글입니다. 1. 이 나오기까지 종교개혁의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먼저 읽어야할 책이 한 권 있습니다. 칼뱅의 이란 책입니다. 이 책은 ‘칼뱅의 종교개혁을 위한 항변서’라는 부제가 보여주듯, 왜 종교개혁을 해야만 하는가를 주창하는 칼뱅의 항변서입니다. 루터를 이야기하기 전에 이 책을 먼저 살피는 이유가 있습니다. 이 책은 왜 종교개혁이 필요하며, 어떤 방식으로 개혁되어야 하는가를 명료하게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칼뱅은 루터에 비하면 늦은 시기의 사람이지만 개혁정신에 있어서는 루터보다 명징하고, 단호했습니다. 또한 그 누구도 이루지 못한 를 펴냄으로 종교개혁자들의 교리를 완성했다고 .. Book/국민일보 2019. 6. 30.

데살로니가전서 1. 1:1-10 인사와 감사

데살로니가전서 1. 1:1-10 인사와 감사ΠΡΟΣ ΘΕΣΣΑΛΟΝΙΚΕΙΣ Αʹ [본문] 1 바울과 실루아노와 디모데는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데살로니가인의 교회에 편지하노니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2 우리가 너희 모두로 말미암아 항상 하나님께 감사하며 기도할 때에 너희를 기억함은 3 너희의 믿음의 역사와 사랑의 수고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소망의 인내를 우리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끊임없이 기억함이니 4 하나님의 사랑하심을 받은 형제들아 너희를 택하심을 아노라 5 이는 우리 복음이 너희에게 말로만 이른 것이 아니라 또한 능력과 성령과 큰 확신으로 된 것임이라 우리가 너희 가운데서 너희를 위하여 어떤 사람이 된 것은 너희가 아는 바와 같으니라 6 또 너희는 많은 .. 구약역사서 2019. 6. 30.

데살로니가 전서 개요

데살로니가 전서 묵상 개요저자데살로니가 전.후서의 저자는 바울입니다. 학자들은 '우리'로 불려지는 것을 감안해 바울이 구술하고 실루아노(실라)가 기록했을 것으로 추측합니다. 고대 편지의 대부분의 이렇게 기록되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학자들의 논리는 타당합니다. 이것은 후에 따로 다루겠습니다.기록 연대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AD 50년 말이다 51년 사이에 기록되었을 것으로 봅니다. 이것은 신약의 최초의 문헌이자 바울의 최초 서신인 갈라디아서 다음으로 두 번째에 해당됩니다. 저작 연대는 서론에서 따로 다룹니다. 기록 장소고린도로 추측됨기록 목적핍박을 받고 있는 데살로니가 교회 교인들을 향한 위로와 격려[지도는 성서유니온선교회 에서 가져옴]데살로니가 교회의 역사적 신학적 상황바울의 저작설데살로니가 전‧후서는 다.. 구약역사서 2019. 6. 29.

[성경의 절기] 수전절(Festival of Dedication)

[성경의 절기] 수전절(Festival of Dedication) 수전절은 신구약 중간기에 생겨난 유대인 전통 절기이다. 유대를 점령한 안티오쿠스 아페파네스 4세가 예루살렘 성전을 모독하고 이방신상을 세운다. 이때 유대인들이 일어나 마카비 혁명을 일으키고 그들을 몰아낸다. 이것을 기념하여 생긴 절기가 수전절이다. 하누카는 수전절의 히브리어이다. [신구약 중간기는 하단에 링크한 를 참고하십시오.] *2019년 수전절은 12월 22일(일) 저녁에 시작해 30일(월) 저녁에 마친다. 아래는 수전절이 생기게 된 과정의 역사적 배경의 일부이다. 중간기 전체는 하단의 를 참고 바람 수전절이 빛의 절기가 된 이유는 바벨론 탈무드에 기록되어 있다. 바벨론 탈무드에 의하면 마카비가 성전을 회복했을 때 성전에는 겨우 하루.. 성경의세계/성경토픽 2019. 6.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