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성경의신들31

고대 신들이 동물을 발로 밟고 있는 이유

고대 메소포타미아 신들이 동물을 발로 밟고 있는 이유고대 메소포타미아 신화와 예술에서 신들이 사자, 용, 소와 같은 동물을 발로 밟고 있는 모습은 종종 발견됩니다. 이러한 묘사는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신들의 힘과 권위를 상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를 몇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1. 신성한 권위와 힘의 상징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신은 세계의 질서를 유지하는 절대적인 존재였습니다. 그들이 동물을 밟고 있는 모습은 신이 혼돈을 억누르고 세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힘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사자를 밟고 있는 신사자는 용맹하고 파괴적인 존재로 여겨졌으며, 이를 정복하는 것은 신의 절대적 힘과 승리를 의미했습니다.바빌로니아의 신 이쉬타르(Inanna, 사랑과 전쟁의 여신)는 종종 사자를 밟고 서 있는 모..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5. 2. 14.

[신화의 세계] 메소포타미아의 신들 (수메르, 아카드, 바벨론, 앗수르)

[신화의 세계] 메소포타미아의 신들(수메르, 아카드, 바벨론, 앗수르) 수메르의 신들수메르의 신들은 기본적을 체계 또는 계급이 존재합니다. 최고신은 남무이며, 그와 동등한 신들은 하늘 여신 '안' 땅의 여신 '키' 바다의 여신 남무'가 있다. 남무는 최고의 신이자 최고의 신 계열에 속하는 묘한 신이다. 이들은 대부분 창조과 통치의 신들이다. 여기서는 1대로 소개됩니다. 2대로 넘어가면 엔키나, 엔릴, 담갈눈나, 닌순 등이 등장한다. 이들은 땅가 하늘의 의 일정 관여하고 지배하는 형태를 지닌다. 2대부터는 사람들처럼 결혼하고 아이를 낳는 과정을 통해 체계가 복잡해 진다. 이러한 개념에서 이해하면 된다.1대안(아누)(하늘의 신)+남무(지하수의 어머니) 안+키(땅의 여신)남무 : 두투르(양의 수호 여신) 엔키..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5. 2. 12.

[성경의 신들] 3. 아세라(Asherah) 아스다롯

[성경의 신들] 3. 아세라(Asherah) 아스다롯뜻: 바다의 여자, 또는 바다를 밟고 다니는 여자아세라 신은 한 마디로 무엇이라 표현하기 힘들 만큼 종류가 다양하다. 일단 분류 가능한 것은 먼저 여신이고, 나무 신이다. 성경에서 바알과 아세라를 짝을 이룬다. 바알신은 대체로 제단으로 존재하고, 아세라는 제단 곁을 지키는 나무 조각상이다. 바알의 아내로 나타나기도 한다. 우가릿 문서에 나온 바알 신화 속의 바알 아내는 아낫이다. 그러나 다른 곳에서 발굴되는 신화들은 엘의 아내이자 어머니인 아티랏(Athirat) 또는 티아마트와 동일시된다. 아티랏, 아세라, 아스다롯은 비슷하면서도 다른 신들이다.  먼저 성경 몇 구절을 인용하여 어떻게 표현하는지 알아보자. 출애굽기  34:13 너희는 도리어 그들의 제단..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5. 2. 12.

성경의 우상 목록표, 고대 근동의 신들

성경의 우상 목록표성경에 나타난 우상 목록표입니다. 성경 속에서 우상은 하나님을 대척하고 부인하게 합니다. 참된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이방인들은 우상을 통해 신을 만나고 찬양하고 경배할 수 있다고 생각합다. 하지만 이스라엘의 여호와 하나님은 어떤 신을 만들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없는 분이 아니십니다. 하나님은 하늘에 계시고, 초월해 계시며 거룩하신 분이십니다. 인간들은 우상을 통해 사람의 힘으로 조종하고, 거래할 수 있다고 착각하지만 하나님은 그럴 수 없는 분입니다. 우상 목록표는 지역별로 구분해 놓았지만 엄밀하게는 구분될 수 없습니다. 수메르 신화 속에 있는 우상들이 팔레스타인으로 흘러 들어와 다른 이름과 모양으로 변형되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탐무스와 바알은 전혀 다..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5. 2. 12.

[성경의 신들] 드라빔(Teraphim)

[성경의 신들] 드라빔(Teraphim)  드라빔(Teraphim)드라빔은 원어적으로 가까운 발음은 테라핌이다. 테라핌(Teraphim, תְּרָפִים)은 구약 성경에서 등장하는 우상으로, 주로 가정에서 사용되던 작은 신상(우상)입니다. 성경의 여러 본문에서 가정의 수호신, 점을 치거나 미래를 예측하는 도구, 또는 유산 상속과 관련된 신비한 상징물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테라핌을 우상숭배로 간주하셨고, 이스라엘 백성이 이를 버릴 것을 명령하셨습니다. 성경 속에 등장하는 신 중에서 가장 작은 신이입니다. 하란에서 도망치던 라헬이 숨겨 갔던 신입니다. 크기는 20-50cm의 크기로 쉽게 숨길 수 있는 우상이다. 집에서 모셔 놓고 섬기는 가정신으로 모시기도 했습니다. 크것도 1m가 넘는 것이..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5. 2. 12.

[신화의 세계] 거미의 신(Spider Goddess, Uttu)

[신화의 세계] 거미의 신(Spider Goddess, Uttu) 태양의 신 우투(Utu)와는 다른 신이다.수메르 신화에서 직조의 여신으로 등장한다.  거미의 상징 거미는 가만히 먹이를 기다리다 잡아채서 먹는 간교하고 게으른 곤충?으로 비유된다. 하지만 긍정적인 관점으로 해석하면 뜻밖의 의미들을 찾아낼 수 있다. 먼저는 창조적 능력이다. 거미는 자신의 몸에서 거미줄을 뿜어내어 줄을 만든다. 즉 창조적 능력을 가진 존재이다. 두 번째는 침착성과 인내심이다. 거미줄을 짜기 위해 거미는 하루 종일 끊임없이 움직인다. 그 일은 단순하면서도 복잡하다. 이러한 거미의 창조적이고 부지런함은 여성성과 잘 어울린다. 아이를 출생하고 부지런하게 무엇인가를 인내심을 가지고 성취해 나가는 것은 여성이다. 우투는 수메르어로 '..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3. 5. 29.

[성경의 동물] 거미(Spider)

성경 속의 동물 거미(Spider) 성경에 나오는 생물의 목록을 살펴보기 전에는 성경 속에서 ‘거미’가 등장하는지도 몰랐다. 성경에서 거미는 딱 두 번 등장한다. 한 번은 욥기 8:14이고, 나머지 한 번은 이사야 59:5이다. 거미의 히브리어는 ‘악카비쉬’이다. 거미가 아닌 거미줄을 뜻한다. 두 번 모두 부정적 의미로 사용되었다. 욥기에서는 거미가 의지하는 것으로, 이사야에서는 독사가 거미줄을 짠다고 말한다. 백성들의 죄를 규탄하기 위해서 사용한 비유이다. 거미가 줄을 몸에서 뽑아내듯 악을 뽑아내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거미는 거미목의 절지동물의 통틀어이르는 말이다. 지구상에서 수많은 거미가 있으며, 한 지역에서도 수백 종의 거미가 존재한다. 일부의 거미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거미..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3. 5. 29.

[성경의 동물] 개구리(frog)

[성경의 동물] 개구리(frog) 히브리어 체파르데아를 번역한 것이다. 개구리는 양서류에 속하며, 물과 육지 사이에서 자란다. 물이 없는 곳에서는 서식하지 못한다. 또한, 담수에만 살기 때문에 강이나 하천 등지에서 많이 발견된다. 생긴 것에 비해 개구리는 포식자이며 육식동물이다. 파리나 모기 등의 곤충을 잡아먹는다. 봄에 한 번 알을 낳는데 수백여 개의 알을 낳는다. 많은 낳는 개구리는 천개가 넘는 것도 있다고 한다. [사신출처 https://pixabay.com/ko/photos/%EA%B0%9C%EA%B5%AC%EB%A6%AC-%EC%82%B0%EB%9E%80-%EB%8B%AC%EA%B1%80-%EC%A0%8A%EC%9D%80-288938/] 개구리는 일반적으로 아는 개구리와 두꺼비, 맹꽁이를 포함한..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4. 12.

[성경의 신들] 달의 신 난나(Nana), 수엔(Suen), 신(Sin)

[성경의 신들] 달의 신 난나(Nana), 수엔(Suen), 신(Sin) 성경 속에서 달은 중요한 상징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달의 신을 숭배했다는 이야기는 등장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달의 신은 아브라함이 갈대아 우르에서 나와 머물렀던 하란의 신이며, 바벨론의 중요한 신 중의 하나이다. 메소포타미아 문명 속에서 달의 신의 개념과 위치를 정리해보자. 달신의 수메르어는 ‘난나(Nana)’이다. 남성 신이며 아누에 이어 최고신이 된 닙푸르의 주신 엔릴의 아들이다. 우리는 대개 달신을 여성신으로 알고 있지만 이것은 후대에 신이 바뀌면서 일어난 것이며 원래는 태양은 여성신이고, 달신은 남성신이다. 수메르의 『엔릴과 닌릴』 신화의 기록에 의하면 닌릴이 닙푸르 근처 강에서 목욕을 하고 있었다. 엔릴이 목욕하는 닌릴을 ..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4. 8.

고대 이집트 역사(Ancient Egypt )

고대 이집트 역사(Ancient Egypt ) 이 글은 고대 이집트 역사에 대한 간략한 글입니다. 방대한 내용이기 때문에 간랸한 내용만을 정리해 싣습니다. 글은 주기적으로 수정 보완됩니다. 스킨 특성상 출처에 대한 각주를 정확하게 기입할 수 없어 하단에 일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Ancient Egypt 고왕국 Early Dynastic Period 3150–2686 BC Old Kingdom 2686–2181 BC 1st Intermediate Period 2181–2055 BC Middle Kingdom 2055–1650 BC 2nd Intermediate Period 1650–1550 BC New Kingdom 1550–1069 BC 3rd Intermediate Period 1069–664 BC L.. 성경의세계/고대근동역사와 신화 2020. 4. 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