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5262

[기독교 고전] 그리스도를 본받아( De Imitatione Christi)

[기독교 고전] 그리스도를 본받아( De Imitatione Christi)토마스 아 켐피스(THOMAS À KEMPIS) 그리스도를 본받아 - 토마스 아 켐피스 지음, 박문재 옮김/CH북스(크리스천다이제스트) 는 수도 없이 읽었다. 아마도 열번은 넘게 읽은 듯하다. 한 번 읽는 것도 귀찮아하는 나에게 는 전혀 다른 책이다. 영혼의 울림을 주는 책이다. 책을 필사 하려고 여러번 시도해서 마음에 드는 문장은 노트에 옮긴 적도 있다. 그만큼 이 책은 나에게 중요한 책이었다. 다른 책은 몰라도 이 책은 만큼 필사를 시도해 보기를 권한다.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 속에 있는 잘 고쳐지지 않는 결점들이 있다면, 하나님께서 그것들을 바꾸어 주실 때까지, 인내로써 감당해 나가는 것이 마땅합니다. 59 *하나님에 .. Book/국민일보 2017. 10. 4.

[초대교회교부] 락탄티우스(Lactantius, 240년? ~ 325년)

락탄티우스(Lucius Caecilius Firmianus Lactantius, 240년? ~ 325년) 박해의 시기에 출생하여 후에 로마 황제가 된 콘스탄틴의 수사학 학생 스승으로 지낸다. 그는 탁월한 고전적 문장력으로 인해 ‘기독교의 키케로’로 불렸다. 아프리카 출신의 수사학자였던 아르노비우스의 강의를 들었고 후에 자신도 수사학 교사로 활동했다. 수사학자로서 두각을 나타내던 그에게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290-230년까지 그를 라틴어 수사학 교사로 황제의 새관저였던 니코메디아로 초빙한다. 이 때 콘스탄틴이 학생으로 그곳에 있었다. 훗날 락탄티우스는 콘스탄틴 황제의 장남 크리스푸스의 스승이 되어 트리어에 머문다. 그의 개종 시기는 분명치 않으나 303년 2월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박해가 시작될 때 수사학..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7. 10. 4.

[초대교회교부] 터툴리아누스 (Tertullian, 150-225)

터툴리아누스 (Tertullian, 150-225) 아래의 글은 터툴리안의 을 마이트웰브에 기고한 글이다.2017/09/21 - [기고글/마이트웰브] - [기독교고전읽기] 터툴리안의 터툴리안의 입지는 굉장히 중요하며 특이하다. 탁월한 기독교 변증가이면서 말년에 극단적 금욕주의를 지향했던 몬나투스에 빠졌기 때문이다. 세상에 대해 금욕적인 태도와 부정적인 관점을 지녔다. 종종 '예루살렘과 아테네가 무슨 상관이 있느냐?'로 대변된다. 하지만, 터툴리안 시대가 핍박이 극심했고, 타락한 문화를 가졌다는 것을 안다면 극단적 선택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최초의 라틴어를 사용한 교부다. 그는 이레니우스와 함께 영지주의를 예리하게 비판한 교부며 ‘삼위’라는 말을 지어내었다. 초기의 기독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다행히..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7. 10. 4.

[초대교회교부] 교부 문헌을 읽는 네 가지 주제

#교부 문헌을 읽는 네 가지 주제핍박, 이단, 성경, 전통(교직) 타티아누스 교부 문헌은 역사라는 상황 속에서 필요에 의해 쓰여진 글들이다. 초기의 문헌들은 로마의 핍박이 강하게 일어난 시기였고, 밀라노 칙령까지 이어진다. 핍박 속에서 교부들이 어떻게 대처하고 교인들을 지도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 다음은 이단이다. 실제로 초대교회의 이단들은 나중 세대의 모든 이단들을 내포하고 있을만큼 적지 않은 이단들이 출몰한다. 특히 영지주의는 강력한 이단 중의 하나이며 기독교와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분가하기 힘들 정도가지 되었다. 교부 중에서도 터툴리안과 같은 반 영지주의적 교부가 있는 반면, 유스티누스와 같은 친 영지주의 교부도 있다. 한 책이 이단만을 다루지 않지만 적지 않은 내용이 이단을 반박하는 내용이다..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7. 10. 4.

[초대교회교부] 알렉산드리아 클레멘트(Alexandrian Clement 140?-216?)

[초대교회교부] 알렉산드리아 클레멘트(Alexandrian Clement 140?-216?) 로마의 클레멘스와 다른 사람이고 정식 이름은 티투스 프래비우스 클레멘스(Titus Flavius Clemens)이다. 그의 생몰 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나 예루살렘 주교가 오리게네스에게 보낸 편지에 의하면 클레멘스는 215-6년 사이에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철학과 기독교에 능통한 학자였다. 학식있는 로마인들에게 기독교를 플라톤과 스토아학파의 철학을 응용해 증명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5권이 전해져 오고 있고 그에게 중요한 , , 세 권의 책이 있으나 한 권도 번역되지 않았다. 그의 문체는 화려하고 수사학적이다. 그러나 그의 신학을 기독교를 철학적으로 해석하려는 시도에 빠져 영지주의적 성향에 깊이 물들어 있다.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7. 10. 4.

[초대교회교부] 리용의 이레니우스

리용의 이레니우스(Irenaeus of Lyon, 2c-202) 2017/09/21 - [기고글/마이트웰브] - [기독교고전읽기] 폴리갑의 2017/11/28 - [기고글/크리스천투데이] - 네 개의 복음서는 어떻게 우리에게 왔는가? 이레니우스의 생애는 단편적이다. 먼저 유세비우스 교회사에 언급되어있고, 다른 몇 곳에 흩어져있다. 그는 소아시아 출신이고 젊었을 때 폴리갑의 가르침을 받았다고 한다. 리용 공동체는 177년경 ‘로마의 주교 엘레우테루스에게 몬타누스파와 교회의 공동체성을 지킬 것을 조언하기 위해’ 로마에 보낸다. 그가 쓴 글은 과 가 있다. 두 책은 180년대 헬라어로 기록되었고, 3-4세기경에 라틴어로 번역되었다. 는 소책자이다. 원본은 전해지지 않고 575-580년경에 아르메니아 번역본만 ..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7. 10. 3.

[초대교회교부] 갑바도기아 교부

갑바도기아 교부 갑바도기아 교부들로 알려진 세 명의 교부들은 삼위일체 교리를 정교화하고 확립한 중요한 신학자들이다. 아타나시우스, 갑바도기아 교부, 어거스틴이 삼위일체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주었다. 대 그레고리 바질(Basil the Great, 329 또는 330-379 )바실리우스이고 줄여서 바질로 부른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의 친형이다. 올리브나무 출판사에서 성 바질이란 이름으로 이 출간되었다. 정식 제목은 이다. 아마도 를 번역한 책인듯하다. 영어 중역인지 라틴어 직역인지 아직 알 수없다. - De Spiritu Sancto - Nine Homilies of Hexaemeron - Letters 닛사의 그레고리 (Gregory of Nyssa, 335-395) - Against Eunomius ..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7. 10. 3.

초대교회 교부 문헌(영문)

초대교회 교부 문헌(영문) 아래의 사이트로 가면 초대교회 문헌을 영어로 번역하여 옮겨 놓았다. http://www.newadvent.org/fathers/index.html 영어가 된다면 살펴보는 것도 좋아 보인다. 아직 우리나라는 번역상에 통합이나 교류가 없어 독립적으로 용어를 사용한다.The Fathers of the ChurchPlease help support the mission of New Advent and get the full contents of this website as an instant download. Includes the Catholic Encyclopedia, Church Fathers, Summa, Bible and more — all for only $19.99...A..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7. 10. 3.

기독교 라틴어 문헌

기독교 라틴어 문헌 초대교회 교부들의 라틴 문헌과 중세의 안세무스도 있다. 아래의 사이트로 가면 라틴어를 직접 만날 수 있다. http://www.thelatinlibrary.com/christian.html 교회사 2017. 10. 3.

[교부 인문] 타티아누스

[교부 문헌] 타티아누스 Tatian of Syria (c. 110–180) 타티아누스 번역안됨 디아테사론은 타티아누스(110-180년)가 150년 경 네 복음서를 하나로 묶에 예수님의 생애를 연대기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남아있는 사본은 없으며, 3세기 헬라어 파피루스 단편이 1933년 이라크 바그다드 북서쪽 두라 유로푸스에서 발견되었다. 원래 원문이 헬라어인지 시리아인지 알길은 없다. 아랍어와 페르시아어로 된 사본이 있고, 중세 유렵에 각국의 언어로 번역되어 퍼쳐 나갔다. 그러나 종교개혁 이후 디아테사론은 소외되어 관심을 받지 못했다. 그의 생몰연대는 정확게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유스틴과 관계를 맺었다는 내용에 의해 유스티누스와 같은 연대로 본다. 그는 과 복음서를 하나로 묶은 을 저술했다. 은 호.. 교회사 2017. 10. 3.

고대 기독교 교리사 / 김광식 / 한들출판사

고대 기독교 교리사 김광식 / 한들출판사 토착화의 관점에서 '고대 기독교 교리사'를 다룬다. 절판된 책이라 구하기가 쉽지 않다. 개혁신앙관에서 비평적 관점에서 읽을 필요가 있지만 교리가 무엇인지 생각해 볼 수 있는 책이다. - 정현욱 목차 Ⅰ. 교리 형성의 전제들 1. 교리의 성서적 기초 2. 교리 형성의 교부신학적 기초 Ⅱ. 삼위일체 교리의 형성 1. 니케아 이전의 기독교 사상 2. 에큐메니칼 공의회의 삼위일체론 Ⅲ. 기독론적 교리의 형성 1. 기독론적 교리의 기초와 쟁점 2. 에큐메니칼 공의회의 결과 3. 고대교회 기독론의 결말 Ⅳ. 동방교회의 교리와 동서방 교회의 분열 1. 비잔틴 정교회의 교리와 가르침 2. 로마와의 분열과 통합 시도의 좌절 Book 2017. 10. 3.

고대 기독교 교리사 / J. N. D. 켈리 / 크리스챤다이제스트

고대 기독교 교리사 J. N. D. 켈리 / 박희석 역 / 크르스챤다이제스트 Book 2017. 10. 3.

고대 기독교 교리사 / J. N. D. 켈리 / CH북스

고대 기독교 교리사 J. N. D. 켈리 / CH북스 *CH북스는 크리스찬다이제스트의 줄임말로 현재 CH북스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J. N. D. 켈리의 (CH북스)가 있다. 이 책은 사도 시대 이후, 즉 속사대 시대부터 중세 직전까지의 고대교회 교리사를 다룬다. 종교회의의 흐름을 살피면서 교리의 변천사와 교부들의 주장들을 담은 책이다. 고대교리사를 다룬 독보적인 책이다. 이 책은 반드시 읽어야 한다. 2004년 김광식 교수가 번역하여 한글 출판사에서 출간된바 있으나 절판되어 구입하기 힘들고, CH북스에서 나온 책은 쉽게 구할 수 있다. 동일한 제목으로 김광식 교수의 책도 한들출판사에서 출간된 바 있다. -정현욱 목차 1부 프롤로그 1.배경 2.전승과 성경 3.성경 2부 니케아 이전 신학 4.삼위일체.. Book 2017. 10. 3.

현대신학해설

현대신학해설간하배 / 개혁주의신행협회 *이 책은 필자가 고신대에서 교재로 사용한 책으로 간하배 교수는 고신대에서 오래 전 강의한 화란 개혁주의 소속이다. 고신대의 초청을 받아 고신대에서 가르친 바가 있다. 비평적으로 현대신학을 정리한 책으로 깊이는 없으나 현대 신학의 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유익한 책이다. 그러나 불필요하게 협소한 관점에서 서구 신학을 비평했다. 굳이 비유하지만 아이를 목욕 시킨 다음 더러운 목욕물과 아이를 함께 버린 격이다. 칼 바르트와 불트만, 몰트만 등을 근본주의 입장에서 무리하게 비판했다. 또한 근본주의의 정당성을 옹호하며 조금이라도 문자주의적 근본주의에서 벗어난 것이 있으면 공격하는 면도 적지 않다. 이러한 저자의 성향은 현재 고신 교단이나 합동 등의 보수 신학의 신앙관과 .. Book 2017. 10. 2.

하나님의 아픔의 신학(神の痛みの神学)

하나님의 아픔의 신학(神の痛みの神学)이원재 옮김 / 새물결플러스 #이 글을 크리스찬북뉴스에 기고한 글입니다. 하나님이 아프시다. 이 책의 결론은 ‘하나님의 아픔’이다. 그것은 시작이고, 과정이며, 결론이다. 하나님이 아프다는 말은 위험한 말이다. 신은 아프지 않기 때문이다. 신이 아프다면 그는 이미 신이 아니다. 그러므로 신은 절대 아플 수 없다. 그러나 참으로 신은 아프다. 우리는 이제 아픈 하나님을 이야기하려고 한다. ‘하나님의 아픔의 신학’이라는 도발적인 책의 제목은 1946년 일본의 저명한 신학자 중의 한 명인 기타모리 가조가 고작 서른 이란 나이에 써낸 역작이다. 그는 이 책을 통해 무정(無情)의 하나님이 타락한 인간으로 인해 아픔을 느끼며 용서와 사랑으로 공의와 구원을 완성한다고 말한다. 그의.. Book 2017. 10.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