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5262

[교부문헌] 안디옥의 요한 크리소스톰

[교부문헌] 안디옥의 요한 크리소스톰 황금의 입으로 불리는 탁월한 설교자였던 요한 크리소스톰 또는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의 저작 목록입니다. 현재 크리스톰의 책들을 일관성이 없고, 저자의 이름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어 찾아보기 힘들다. 신학적으로는 그다지 중요한 인물은 아니다. 일단 그는 부와 권세자들에게 굴하지 않았다는 점과 약자들을 볼보는 사역에 힘썼다는 점에서 위대하다. 여기저기 흩어진 그의 책들을 모아 정리 해 보았다. 이름도 가지각색이고, 출판사도 천차만별이다. 그래서 찾고 찾아 여기에 모은다. 전기 요한 크리소스토무스 / 루돌프 브랜들레 / 이종환 옮김 / 분도출판사 / 2016.3 번역된 책들 단순하게 살기 / 이현주 / 아침이슬 / 2008.6 이 책이 번역되어 있다는 것 자체가 신기할 따..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7. 10. 20.

쉽게 읽는 기독교 강요 / 스데반 황 옮김 / 생명의 말씀사

쉽게 읽는 기독교 강요스데반 황 옮김 / 생명의 말씀사 반드시 누군가는 했어야 했다. 그러니까 방대한 칼빈의 기독교 강요를 간단한 줄거리로 요약하는 것 말이다. 이 책은 그동안 그 어떤 책보다. 기독교 강요의 핵심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했다. 모호한 부분들을 거르고 정리해 핵심적인 내용을 담아 냈다. 기독교 강요를 읽고 싶다면 먼저 이 책부터 읽어야 한다. 용기만으로 기독교 강요를 읽으려 하다간 1권도 넘기기 전에 포기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책은 태권도의 품새와 같다. 너무 쉬워 무시할 수 있지만 간단한 행위를 계속 따라하다보면 난해한 부분도 이해되고, 전에 깨닫지 못했던 부분들이 명료해 진다. 이것이 이 책의 특징이다. 분량이 작다. 마음 잡고 읽으면 두 시간에 일독이 가능하다. 이 책은 일독으로 끝.. Book 2017. 10. 20.

어거스틴 고백록 라틴어(Augustini Confessiones)

어거스틴 고백록 라틴어(Augustini Confessiones) “당신은 우리를 당신을 향해서(ad te) 살도록 창조하셨으므로 우리 마음이 당신 안에서(in te) 안식할 때까지는 편안하지 않습니다.”(quia fecisti nos ad te et inquietum est cor nostrum, donec requiescat in te.) 어거스틴의 라틴어 고백록 사이트. 아래는 고백록 1권에 해당되는 라틴어 원문이다. Liber ICAPUT 1Magnus es, domine, et laudabilis valde: magna virtus tua, et sapientiae tuae non est numerus. et laudare te vult homo, aliqua portio creaturae tu..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7. 10. 20.

Rofo 500 성경해설 모세오경 / 박우택 / 세움북스

Rofo 500 성경해설 모세오경박우택 / 세움북스 *이 글은 마이트웰브에도 기고된 글입니다. *이 글은 http://www.cbooknews.com/에 기고한 글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 책은 하나님의 집에 충성한 모세와 같이 성경에 충직하고, 교리에 탄탄하게 뿌리내리고 있다. 사랑받는 책은 두 가지의 종류가 있다. 하나는 기존의 해석을 뒤 엎고 새로운 관점을 탁월하게 제시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들을 시대의 천재들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한 종류가 있다. 그것은 기본에 충직(忠直)한 책이다. 모든 책은 탁월한 천재들의 책이 아닌 가장 기본부터 배워야 한다. 기본에 충실한 사람이 탁월한 경지에서도 흔들리지 않는다. 자신의 자리가 어디이며, 어디로 가야 할지를 알기 때문이다. 바로 이 책, 박우택 목사의 .. Book 2017. 10. 19.

[띄어쓰기] 이 책 저 책

[띄어쓰기] 이 책 저 책 원칙이 책 저 책허용이책 저책 어렵다. 띄어쓰기. Book 2017. 10. 19.

믿음의 여인들1 / 기엔 카젠

믿음의 여인들1 기엔 카젠(Gien Karssen) *이 글은 http://ctmnews.kr/ 에 기고한 글입니다. 기엔 카젠의 책이 새로 출간되었다. 이미 전설이 된 그녀의 책은 수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다. 여성 작가답게 성경 속 여인들을 탐색해 나간다. 믿음의 여인들이 걸었던 삶의 궤적을 통해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지 무엇이 바른 믿음인지를 생각하게 한다. 그녀가 살았던 암담했던 시기는 결혼 6주 만에 남편을 나치 수용소로 떠나보내야 했고, 절망이란 현실 속에서 운명의 짐을 지며 살아가도록 종용한다. 그러나 그녀는 남편이 죽기 직전 일기에 남긴 한 구절의 말씀으로 인해 자신의 삶을 다시 일으킨다. 누가복음 9장 24절 말씀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손에 쟁기를 잡고 뒤를 돌아보는 자는 하나님의 .. Book 2017. 10. 19.

[기독교고전읽기] 암브로시우스 <나봇 이야기>

[기독교 고전 읽기]암브로시우스 *이글은 마이트웰브에 기고한 글입니다. 암브로시우스는 교회사에서 잘 알려진 인물입니다. 그는 밀라노 감독이었고, 어거스틴에게 세례를 준 감독으로 유명합니다. 그는 히에로니무스, 어거스틴, 그레고리우스 1세 와 더불어 서방교회 4대 교부에 속할 만큼 교회사에 중요한 인물입니다. 암브로시우스는 어거스틴에게 세례를 주었을 뿐 아니라 여러 면에서 영적 아버지 역할을 감당했습니다. 암브로시우스는 후기 교부에 속합니다. 니케아 후 교부들의 문헌은 두 가지 주제에 집중하게 됩니다. 하나는 금욕적 삶과 다른 하나는 신학적 주제입니다. 암브로시우스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이유는 생애에서 간략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 생애와 주요 활동 암브로시우스의 생애는 파울리노가 쓴 로 인해 어.. Book/국민일보 2017. 10. 18.

[기독교고전읽기] 디다케-열두 사도들의 가르침

[기독교 고전 읽기] 디다케-열두 사도들의 가르침 *이 글은 마이트웰브에 기고한 글입니다. 는 초대교회 문헌에서 독보적입니다. 어거스틴 이전의 교부 문헌 중에 가장 오래된 것 중의 하나이며, 사도시대와 가장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고, 사도 이후 초대교회 상황을 가늠할 수 있는 문헌입니다. 는 히폴리투스의 과 더불어 초대교회 상황을 알 수 있는 문헌입니다. 히폴리투스의 은 저작 시기와 저자가 불투명한데 비해, 는 저자는 알 수 없지만 저작 시기는 기원후 100년쯤으로 확실합니다. 장소는 시리아 시골에서 제작된 것입니다. 이 시기는 사도들이 죽고 속사도들이 교회를 지도하는 시기였고, 교회가 틀을 잡아가는 과도기였습니다. 는 초대교회 당시 교회의 정황과 체계를 잡아가는 교회의 모습이 담겨져 있습니다. 그런 의미.. Book/국민일보 2017. 10. 18.

[기독교고전읽기] 어거스틴 삼위일체론(De Trinitate)

[기독교 고전 읽기] 어거스틴 삼위일체론(De Trinitate) *이글은 마이트웰브에 기고한 글입니다. 1. 서론 어거스틴의 책이 벌써 7번째 접어들고 있습니다. 교부 문헌 중에서 가장 많이 번역된 책입니다. 많이 번역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중요하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어거스틴의 저작 중에서 ‘하나님을 만나는 인간의 길’로 간주되는 삼부작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작품은 입니다. 또 한 권은 특이하게도 을 꼽았고, 나머지 한 권이 오늘 함께 다룰 입니다. 의 경우는 어거스틴의 개인적 삶의 여정 속에서 하나님을 찾아가는 과정입니다. 은 인류의 역사 속에서 하나님은 누구신가를 묻는 여정입니다. 마지막 오늘 함께할 은 신학적이면서 내면의 깊은 사색을 통해 우리를 찾아오신 하나님을 만나는 여정입니다. 또한 세.. Book/국민일보 2017. 10. 18.

[독서일기] 헌책은 누군가의 책이었다.

[독서일기] 헌책은 누군가의 책이었다.2017년 10월 16일 월요일 비온 듯 흐리나 비는 내리지 않는 쓸쓸한 아침 "순천 성서 신학원" 그리고 뒤 내지에 "김정식 장서"라는 직인이 찍혀있다. 그러니까 이 책은 누군가의 책이었다. 김정식은 누구일까? 그나마 순천성서신학원은 아직도 순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Book 2017. 10. 16.

[독서일기] 저자와 번역가

[독서일기] 저자와 번역가 번역가로 활동하는 박규태 목사님의 글을 읽었다. 전문 번역가로 산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한달에 백만원도 힘들다고 한다. 출판사의 문제라기보다는 한국교회가 그만큼 책을 읽지 않는다는 뜻이다. .... 번역가는 원래의 글을 가져와 번역하는 것이기에 창작자가 아니라는 편견이 가득하다. 출판사의 입장에서는 기존의 인세를 주고 다시 번역비를 주어야한다. 이로인해 번연가는 중간에서 모호하 존재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생각해보자. 번역하지 않고 어찌 읽을 수 있을까? 번역도 번역이고, 독서도 번역이고, 삶도 번역이다.18.7.15 Book 2017. 10. 14.

신적 성품과 거짓 가르침 / 채영삼 / 이레서원

신적 성품과 거짓 가르침채영삼 / 이레서원 채영삼 교수의 책은 언제나 놀랍다. 작년 가뭄에 내리는 단비처럼 마음을 흡족하게 해준 라는 책으로 채영삼 교수를 접했다. 이레서원의 책들은 주의하여 보는 편이었지만 이상하게 눈에 띄지 않았다. 2015년에 출간된 책인데도 말이다. 그 후로 채영삼 교수의 매력에 빠져들어 기회가 되는대로 되로 읽어 나갔다. 올해(2017년) 4월에 나온 는 참으로 기이한 책이었다. 그 기이함은 채영삼 교수가 가진 인격과 성품에서 나온 것이었을 것이다. 공동 서신은 말이 ‘공동’이지 난해한 서신들이다. 그런데도 채영삼 교수는 고도의 집중력과 온유한 성품으로 공동 서신에서 담긴 하나님의 선하심을 채굴하여 한 권의 책에 담았다. 지금까지 읽은 그 어떤 책보다 교회를 사랑하는 마음을 느끼.. Book 2017. 10. 13.

조지래드의 종말론 강의 / 조지 래드 / 이승구 옮김 / 이레서원

조지래드의 종말론 강의조지 래드 / 이승구 옮김 / 이레서원 *이 글은 크리스찬북뉴스에 기고한 글입니다. 종말론은 언제나 뜨거운 감자다. 교회는 처음부터 종말론적이었고, 시대의 흐름을 따라 강약을 조절하며 종말론의 관심은 지속되었다. 특별히 세기말이나 어지러운 시국에서는 종말론에 대한 관심은 뜨거웠다. 특이하게도 ‘종말’은 곧 ‘이단’이라는 명제가 생길 만큼 황당하게 이끌렸다. 대부분의 이단들은 두 가지 성향을 띠는데 하나는 삼위일체에 대한 오해에서 생기고, 다른 하나는 종말에 대한 왜곡에서 발생한다. 인터넷에서 ‘종말’이란 키워드로 검색하면 수도 없이 많은 자료들이 떠오른다. 필자가 직접 ‘종말’이란 단어로 구글링을 시도하니 스티븐 호킹의 이야기로 시작되었다. 즉 종말은 신학적인 주제로만 남겨져 있지 .. Book 2017. 10. 12.

[독서일기] 주님과 동행하십니까?

[독서일기] 주님과 동행하십니까? 2017년 10월 11일 수 벌써, 그렇다. 벌써 수요일이다. 아니 10월 11일이다. 생존의 절박감 때문인지 하루하루 가는 것이 두렵고 떨린다. 아직 버틸 여분의 힘이 있기는 하지만 하루하루 파죽지세로 밀려오는 시간은 결코 반가운 손님이 아니다. 통장에 얼마 남지 않는 잔고는 나로 하여금 초월적 존재를 기억나게 한다. 아침 마마 엉덩이를 높이 지켜들고 하나님께 드리는 어설픈 기도는 살아 있음을, 살고 싶음을 아뢰는 것이다. 그래서 감사하다. 아직 남루하지만 감사할 마음까지는 잃지 않았기에. 어느 바닥까지 내려가할지 모르겠지만 그대로 살아있음에 감사하자. 몇 곳 넣지도 않았지만 사역지를 알아보고 넣은 곳들에서 연락이 없다. 많은 이유들이 있겠지. 그래도 지금 여기에 존재.. Book 2017. 10. 11.

[독서일기]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

[독서일기]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2017년 10월 10일 화요일 오늘 택배가 우르르 왔다. 정말 우르르가 맞다. 추석 전에 시킨 물건들이 휴가가 끝나자 발송되기 시작하면서 오늘 우르르 들이 닥친 것이다. 기다린 것도 있고 기대하지 않은 것도 있다. 잔뜩 기대했던 아우구스티누스의 이 왔다. 그런데 너무 놀랬다. 두께가 생각했던 것의 거의 세 배 가까이 되었다. 부담스러웠던 보다 거의 세 배다. 보는 순간 숨이 턱 막히는 것 같았다. 이것을 일주일 안에 읽고 서평을 해야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할 것 같다. 성염교수도 삼위일체가 정말 힘들었다고 했다. 이제야 그 이유를 알 것 같다. 하여튼 번역하고 해제해 주신 성념교수님께도 감사. 삼위일체론국내도서저자 : 아우구스티누스(Aurelius Augustinu.. Book 2017. 10. 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