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구약역사서427

[룻기(Ruth) 묵상] 들어가면서

룻기(Ruth)묵상 들어가면서 룻기는 주인공인 룻의 이름을 가져온 것입니다. 룻은 모압여인으로 이방인이었습니다. 모압족속은 아브라함의 조카였던 롯의 후손으로 암몬과 모압은 형제지간입니다. 모압은 요단 동편 사해 동남쪽에 위치합니다. 이방인이었던 룻이 이스라엘 남자인 보아스와 결혼하여 다윗의 조상이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습니다. 마지막에 다윗의 족보가 기록된 것은 룻의 목적이자 룻기를 기록의 이유입니다. 이방인이었던 룻이 이스라엘 안으로 들어올 수 있었던 이유는 고엘제도 때문입니다. 룻이 시아버지였던 엘리멜렉은 룻의 남편이 될 보아스의 친척이었습니다. 이스라엘 안에서는 고엘제도가 있어서 남편이 죽어 대를 잇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친척이 그 여인을 취하여 아이를 낳게 해줍니다. 남편이 된 남자는 그 여인.. 구약역사서 2018. 4. 18.

[시편 23편 묵상] 3. 지도하시는 여호와

[시편 23편 묵상] 3. 지도하시는 여호와 내 영혼을 소생시키시고 자기 이름을 위하여 의의 길로 인도하시는도다 부흥케하시는 여호와 여호와는 우리의 영혼을 소생시키십니다. ‘소생’시키다는 히브리어 ‘슈브’는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리다는 뜻입니다. 처음의 자리, 처음의 삶으로 다시 돌아가는 것입니다. 죄에 빠진 사람들에게 처음의 자리는 어디일까요? 성경은 처음 사람을 만들 때 가장 완벽하고 온전하게 만들었습니다. 죄는 이 모든 것을 앗아갔습니다. 하나님은 죄인들이 회개하고 돌아올 때 용서하시고 회복시키십니다. 되돌아가는 것은 처음의 모습으로 회복되는 것 이상입니다. 우리의 모습은 약간 수정하고 개선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까지 지은 모든 죄를 간과하시고 없었던 것처럼 대하신다는 말입니다. 동일.. 구약역사서 2018. 3. 29.

[사사기 묵상] 2. 1:22-2:5 왜 벌써 포기하려느냐?

2. 1:22-2:5 왜 벌써 포기하려느냐?1본문읽기에브라임과 므낫세 지파가 벧엘을 치다1:22 요셉 가문도 벧엘을 치러 올라가니 여호와께서 그와 함께 하시니라1:23 요셉 가문이 벧엘을 정탐하게 하였는데 그 성읍의 본 이름은 루스라1:24 정탐꾼들이 그 성읍에서 한 사람이 나오는 것을 보고 그에게 이르되 청하노니 이 성읍의 입구를 우리에게 보이라 그리하면 우리가 네게 선대하리라 하매1:25 그 사람이 성읍의 입구를 가리킨지라 이에 그들이 칼날로 그 성읍을 쳤으되 오직 그 사람과 그의 가족을 놓아 보내매1:26 그 사람이 헷 사람들의 땅에 가서 성읍을 건축하고 그것의 이름을 루스라 하였더니 오늘까지 그 곳의 이름이 되니라 쫓아내지 못한 가나안 족속1:27 므낫세가 벧스안과 그에 딸린 마을들의 주민과 다아.. 구약역사서 2018. 2. 23.

[사사기 묵상] 1. 1:1-21 비록 쫓아내지 못했을지라도

[사사기 묵상] 1. 1:1-21 비록 쫓아내지 못했을지라도 사사기는 ‘여호수아가 죽은 후에’에 시작됩니다. 여호수아의 죽음은 리더십의 부재를 의미하며 앞으로 일어날 사사기의 모든 사건들의 원인이 됩니다. 여호수아의 시작은 모세가 죽은 후 시작됩니다. 그러나 화자가 하나님이며, 모세를 이을 여호수아가 있습니다. 그러나 사사기는 화자가 하나님도 아니며 여호수아를 이을 리더십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한 사람이 아닌 ‘이스라엘 자손’이 등장합니다. 이것은 연합하여 함께 문제를 해결해야 함을 말합니다. 사사기의 시작은 이스라엘의 기도로 시작합니다. 그들은 ‘누가 먼저 올라가서 가나안 족속과 싸우리이까’ 묻습니다. 이곳에서는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지만, 이들의 기도 속에는 가나안 족속과의 전쟁을 머뭇거리고 있.. 구약역사서 2018. 2. 22.

사사기 묵상을 시작하면서

사사기 묵상을 시작하면서 사사기를 생각하면 몇 가지가 떠오릅니다. 사사들, 암흑, 정복 실패, 전쟁, 기드온, 삼손 등입니다. 그러나 이 모든 것보다 가장 뇌리에 각인되어 있는 것은 죄의 사이클입니다. [죄-침략-부르짖음-사사들-구원]라는 일종의 5도 사이클입니다. 이 패턴은 사사기 초반과 결말을 뺀 중간 부분을 차지하면서 분량만으로도 거의 2/3에 해당합니다. 사사기의 시작은 여호수아의 정복 전쟁을 이어받아 각 지파가 흩어져 제비뽑은 땅을 정복하는 것입니다. 초반부에서 이것이 성공하듯 보이지만 2장에 들어서자마자 보김에 나타난 여호와의 사자로 인해 그들이 실패하고 있음이 드러납니다. 그리고 여호수아의 죽음이 다시 언급되고 여호와를 버린 ‘다른 세대’가 등장합니다. 여호와를 알지 못하는 다른 세대의 사람.. 구약역사서 2018. 2. 21.

[말라기 묵상]1. 1:1-5 내가 너희를 사랑하지 않았다고?

[말라기 묵상]1. 1:1-5 내가 너희를 사랑하지 않았다고? 말라기는 경고입니다. 경고는 ‘조심하라 그렇지 않으면 나쁜 결과가 있을 것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경고를 하신 이유는 나쁜 결과를 막기 위함입니다. 위험한 곳에 경고판을 부착하는 이유는 위험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경고판을 볼 때 ‘위험’을 감지하고 더 이상 접근하지 말아야 합니다. 또한 이것은 용납할 수 있는 경계의 끝자락에 있다는 말입니다. 조금만 더 간다면 결국 위험에 처하게 될 것입니다. 경고는 좋은 것이면서 동시에 나쁜 것입니다. 감기가 들었다면 몸이 경고를 보내는 것입니다. 피곤을 느끼고 병이 들었다면 경고입니다. 더 이상 무리하면 더 안 좋은 일이 있을 거라는 경고인 것이죠. 이것은 이제 쉬어야 한다는 신호이기도 합니다.. 구약역사서 2018. 2. 12.

황양목과 고난/소합향 향수

고난을 상징하는 식물 화양목 고난 http://blog.daum.net/paul8291/2556 소합향 향수 http://blog.daum.net/paul8291/2556 소합향 타나프 때죽나무라 한다. 소합향은 소합향나무에 깊은 상처를 내면 액이 흘러나온다. 이것을 알코올로 정제하여 건조하면 소합향이 된다. 고난 없이 향기 없다. 소합향 구약역사서 2018. 2. 6.

사 60:10~22

사 60:10~22 회복될 이스라엘 환상 하나님께서 회복하실 이스라엘은 상상하기 힘들 정도입니다. 하나님은 다시 회복의 비전을 통해 이스라엘을 지도하십니다. 회복의 환상을 통해 하나님의 풍성한 사랑과 긍휼을 읽을 수 있습니다. 한때 분노했지만 이제는 그들을 ‘불쌍히 여’기겠다고 말씀하십니다. 하나님께서 회복하실 때는 원래의 자리가 아닙니다. 이방인들이 일꾼이 되어 성벽을 쌓고, 이방의 왕들이 이스라엘을 섬길 것입니다. 이것은 영광의 자리이며, 모든 나라보다 이스라엘을 높이시겠다는 약속입니다. 이스라엘의 권위가 얼마나 대단한지 성문이 항상 열려 있고, 이방 나라들이 재물을 가지고 올 것입니다. 심지어 이스라엘을 ‘섬기지 아니하는 백성과 나라는 파멸’(12절) 당할 것입니다. 그 어떤 나라도 이스라엘을 대적.. 구약역사서 2018. 2. 6.

[에베소서 묵상] 에베소서 묵상을 시작하면서

[에베소서 묵상] 묵상을 시작하면서 에베소서는 에베소에 있는 교회에 편지했다는 인사를 제목을 정한 것입니다. 신약의 모든 서신서는 기본적으로 회람 서신으로 한 교회만을 위한 편지는 아닙니다. 일차적으로 에베소 교회를 향한 것이지만 다른 교회에도 통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록된 것입니다. 에베소서는 다른 서신서에 비해 다분히 교리적이며 철학적 요소가 강하게 드러납니다. 로마서가 이신칭의에 주목하고, 오직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는 교리에 중심을 둔다면 에베소서는 은유적이며, 실천적인 내용이 버무려져 있습니다. 골로새서와 쌍둥이처럼 닮아 있으며, 철학과 정치의 중심지였던 에베소에 맞게 사변적이고 논리적인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에베소서는 전통적으로 바울 서신으로 인정되었지만 현대 학자들은 몇 가지의 의문점으로 인.. 구약역사서 2018. 1. 18.

[에베소서 묵상] 에베소서 본문(헬라어)

[에베소서 묵상] 에베소서 본문(헬라어) 에베소서 묵상을 위한 헬랑 성경 본문입니다. 1-6장까지이며, 헬라어 텍스트는 Novum Testamentum Graece, Nestle-Aland 26th edition 입니다. 1장 1Παῦλος ἀπόστολος Χριστοῦ Ἰησοῦ διὰ θελήματος θεοῦ τοῖς ἁγίοις τοῖς οὖσιν [ἐν Ἐφέσῳ] καὶ πιστοῖς ἐν Χριστῷ Ἰησοῦ: 2χάρις ὑμῖν καὶ εἰρήνη ἀπὸ θεοῦ πατρὸς ἡμῶν καὶ κυρίου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3Εὐλογητὸς ὁ θεὸς καὶ πατὴρ τοῦ κυρίου ἡμῶν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ὁ εὐλογήσας ἡμᾶς ἐν πάσῃ εὐλ.. 구약역사서 2018. 1. 1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