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일상이야기956

하나님의 나라, 구약과 신약의 차이

구약 하나의 나라로서 존재한다. 종교와 정치가 구분되어 있으나 엄격하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종교지도자들이 정치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종교적인 행사를 하기도 한다. 손에 칼을 쥐고 불순종하면 죽음을 선물로 준다. 계명을 즐거움으로 순종하지 않고 억지로 굴복할 여지가 많다. 억지로라도 순종하지 않으면 죽임을 당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감동이 없다. 즉 자원하는 마음이 없어진다. 마치 이슬람이 한손엔 코란 한손엔 칼을 들이대는 것과 다르지 않다. 결국 구약적 하나님의 나라는 불완전하며 억지스러운 것이 된다. 문제 겉으로는 화려하지만 속은 썩은 것이 된다. 형식은 있지만 진심은 없다. 신약 영적 나라이다. 종교와 정치가 분리된다. 칼이 없는 교회 즉 권력이 없어진다. 순종하지 않아도 벌이 없다. .. 일상이야기/팡......세 2011. 11. 2.

고등부칼럼-사랑은 안단테다!

사랑은 안단테다! 사랑은 안단테다. 효율 중심의 현대사회는 느린 것을 참지 못하고, 천천히 기다리는 것을 용납하지 못한다. 근대화의 첨병인 새마을 운동을 지나오면서 사람들은‘빨리빨리’를 입에 달고 산다. ‘시간이 금이다’라는 격언처럼 시간을 무작정 흘러 보내고 기다림의 시간을 허비라고 생각하는 시대가 되었다. 음식도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패스트푸드를 선호하고, 인터넷도 0.5초를 기다리지 못해 마우스를 수도 없이 클릭하는 조급한 마음이 되었다. 교실에서도 아직 알지 못하는 아이들을 배려하기보다 잘하는 학생들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며, 행동이 느린 어르신들이 버스에 타면 빨리 출발하지 않으냐고 짜증내는 시대 속에 살고 있다. 이 모든 이유는 사랑이 없기 때문이다. 남을 배려하고 기다리는 것보다 자신만을 .. 일상이야기/목회칼럼 2011. 10. 27.

고등부칼럼 - 부끄러운복음 VS 자랑스런 복음

부끄러운복음 VS 자랑스런 복음 복음은 부끄러운 것일까 아니면 자랑스러운 것일까? 현대의 기독교인들은 복음을 부끄러워한다. 자신이 기독교인임을 알리려고 하지 않으며, 교회에 다니는 것을 말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고등학교에 다니는 K는 파지를 주워 팔아 살아가는 자신의 부모를 아무에게도 소개하지 않았고, 직업이 무엇인지도 말하지 않았다. 자신의 부모가 초라하고 미천한 모습으로 살아간다는 것이 부끄러웠기 때문이다. 부끄럽게 여기는 것은 가치를 작게 여긴다는 뜻이다. 현대의 기독교인들이 복음을 부끄러워하는 이유는 복음의 가치를 진정으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울은 '내가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복음에는구원에 이르는 하나님의 능력이 되기 때문이다. 교회의 역사는 복음을 자랑했.. 일상이야기/목회칼럼 2011. 10. 21.

데카르트 지식 습득 4가지 방법

르네 데카르트 프랑스어로는 René Descartes 이며, 라틴어 이름은 Renatus Cartesius 이다. 1596년 3월 31일에 태어나 1650년 2월 11일에 죽었다. 데카르트 지식 습득 4가지 방법 근대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데카르트 그는 어떻게 철학하고 습득을 했을까? 다음은 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이란 책에서 가져왔다. 1. 나 스스로 명확하게 '참'이라고 인정한 것 외에는 어떤 것도 '참'이라고 받아들이지 마라. -계속 의문을 가져라. 2. 모든 문제를 큰 덩어리로만 바라보지 말고 가능한 한 작게 세분 하라. -건너뛰지 말고 완전히 이해하라. 3. 가장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운 대상에서 점차 단계를 밟아 복잡하고 난해한 문제에 접근하라. -토대가 중요하다. 4. 어떤 항목도 빠지지 .. 일상이야기/교회교육 2011. 10. 15.

돈을 버는 사람의 열 가지 특징

인터넷 상에 떠도는 돈버는 사람들의 열 가지 특징이란 글입니다. 돈 버는 방법이 아니라 돈을 버는 사람의 특징이니 유심히 살펴보면 재미있는 몇 가지를 살펴 볼 수 있습니다. 먼저 내용을 봅시다. 돈을 버는 사람의 열 가지 특징 ① 감사생활을 하는 사람 - 불평 불만이 많은 사람은 돈도 싫어한다 ② 수입 이하의 생활을 하는 사람 - 너무나 지당한 사실 ③ 부부사이가 좋은 사람 - 부부싸움을 하면 대단한 금전적 손실을 입는다 ④ 돈이나 물건이나 사람을 소중히 하는 사람 - 구두쇠의 마음 ⑤ 건강에 조심하는 사람 - 건강 자체만으로 대단한 돈이다 ⑥ 독립심과 자존심이 강한 사람 -절대로 꾸지 않는다 ⑦ 일을 취미처럼 즐기는 사람 -일이 재미있으면 삶이 즐겁다 ⑧ 한 우물만 파는 사람 - 물이 나올 때까지 ⑨ .. 일상이야기/팡......세 2011. 10. 15.

고등부칼럼-무엇을 위해 죽겠는가?

무엇을 위해 죽겠는가? 얼마 어느 TV에서 청담동 며느리의 일상이란 주제로 방영한 적이 있다. 우리나라의 최고의 갑부들이 산다는 청담동, 그곳의 며느리들은 어떻게 살까? 한 분은 자신의 집에 수 천벌의 옷이 있다고 말했다. 하루에 한 벌씩 입어도 족히 몇 년은 걸리는 엄청난 옷이다. 옷의 가격만 따져도 수십억이 넘는다. 사람은 자신이 귀중하게 여기는 것에 돈과 시간을 사용한다. 어떤 사람은 차에, 어떤 사람은 집에, 어떤 사람은 옷에, 어떤 사람은 건강에, 어떤 사람은 친구들에게 투자한다. 그것들이 가장 중요하고 소중하기 때문이다. 그 사람이 무엇을 소중하게 여기는 지는 그 사람이 어떤 것에 돈을 사용하는가 보면 알 수 있다. 사도 바울은 에베소교회 장로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도 아깝지 않.. 일상이야기/목회칼럼 2011. 10. 14.

삶은 보기 나름

사소한 것의 관심 그것은 보고자 하는 사람에게 보이지 무심코 보이는 것은 아니다. 처음에는 뭔가 특이한 것을 보면 좋다라고 말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단조로운 일상을 비범하게 보는 눈이 길러진다. 일상이야기/팡......세 2011. 10. 12.

세상을 바꾼 창조적 아이디어의 시작.-steve jobs

세상을 바꾼 창조적 아이디어의 시작. 뛰어난 사람과 함께 일하려면 그들 스스로 많은 결정을 할 수 있게 하고 위계질서가 아닌 그들의 아이디어에 의해서 경영이 돼야 합니다. 반드시 최선의 아이디어가 채택되어야 합니다. -steve jobs 다르게 생각하라! 결합하면 달라진다! 가장 최선을 선택하라! 운명을 바꿀 새로운 시대를 스스로 만들어라! 일상이야기/팡......세 2011. 10. 12.

칼 융, 분석심리학 이론을 세우다.

융 심리학 프로이트와 결별하고 분석 심리학을 만들다.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1875-1961) 융은 스위스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바젤대학 의학부를 졸업한 후 취리히 대학에서 정신의학을 연구했다. 1907년 융 부부는 프로이트의 초청을 받고 만남을 갖게 된다. 당시 융은 프로이트와 13시간이라는 긴 시간을 대화를 하느라 아내와 아이들을 데리고 왔다는 것을 잊어 버렸다고 한다. 프로이트 융을 맘에 들어하여 자신의 ‘후계자’로 불렀다. 그러나 융은 100%은 프로이트의 무의식에 대해 확신하지 못했다. 그러다 1909년 융과 프로이트는 미국의 초청을 받아 가게 되면서 북독일 이탄지의 미라에 대한 대화 때문에 서로 갈라지게 된다. 이것에 관심이 많았던 융이 여행 중에 미라 이야기를 .. 일상이야기/팡......세 2011. 10. 11.

워비곤호수 효과(Lake Wobegon effect)

워비곤호수 효과(Lake Wobegon effect) 워비곤호수 효과란 자신이 평균보다 더 낫다(높다)고 생각하는 오류이다. 게리슨 케일러가 지은 이야기에 미국 미네소타주에 있다는 가상의 마을 워비곤 호수가 나온다. 이곳의 아이들은 모두 평균 이상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워비곤 (woebegone)이란 단어의 원래 뜻은 '근심에 찬' '슬픔에 잠긴'이란 뜻이다. 1980년대 후반 웨스트버지니아주에 살고 있는 소아과의사이며 교육학자인 존 캐널박사가 발표한 연구보고로 알려진 것이다. 보고서는 미국의 50개 주가 발표한 각 주의 학생들의 시험성적이 평균 하나 하나 모두가 미국 전체의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냈다. 그러나 모든 주 정부가 하나같이 자기네 학생들은 평균 성적이 .. 일상이야기/목회칼럼 2011. 10. 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