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일상이야기956

[중고등부칼럼] 큐티: 말씀 읽기의 힘

큐티: 말씀 읽기의 힘 문법학자가 기를 가다 앞을 보지 못하고 우물에 빠졌다. 살려달라고 한 참을 애원해도 지나는 사람이 없어 애만 태우고 있었다. 마침 한 목사님이 길을 가다 살려달라는 소리를 듣고 우물을 들여다보았다. “당신은 왜 거기에 있소?” “나는 문법학잔데, 불행히 깊이 생각하다 그만 이 우물에 빠지고 말았소. 나를 좀 구해 주시오.” “알았소. 밧줄이 사다리를 가져와 당신을 구해 줄 테니 조금만 기다리시오.” “잠깐! 당신은 방금 문법이 틀렸소. 밧줄‘과’ 사다리라고 해야 하오. 고치는 것이 좋겠소.” “그게 그렇게 중요하다면 내가 완벽하게 문법을 배울 때까지 거기 그냥 계시지 그러시오.” 하고는 떠나 버렸다. 성경을 읽다보면 정말 중요한 것은 놓치고 의미 없는 문자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 일상이야기/목회칼럼 2014. 1. 25.

위기를 기회로 만든 사람들-프랭크 리베리

위기를 기회로 만든 사람들프랑크 리베리(프랑스어: Franck Ribéry)프랑크 리베리(프랑스어: Franck Ribéry) ▶프랑스 축구선수▶현재 독일 푸스발-분데스리가의 FC 베이에른 뮌헨에서 활약▶ 프랑스 축구 국가 대표팀▶그의 주 포지션은 윙어로, 주로 왼쪽을 담당한다.▶그는 빠른 속도와 에너지, 기술, 그리고 정확한 패스로 인정 받았다. ▶독일 베이에른 뮌헨에 입단 후 프랑스 최고의 월드 클래스 선수로 알려짐. 이런 수식어는 프랑스의 전 국가대표요 팀대표를 맡았던 그 유명한 지네딘 지단의 것이었다. 지단은 리베르의 우상이자 선배였다. 지단은 리베르에게 '프랑스 축구의 보석'이란 말을 들을 만큼 탁월한 실력을 소유하고 있다. 화려하고 탁월한 실력을 보유한 리베르, 그는 어떻게 해서 명성을 소유하.. 일상이야기/교회교육 2014. 1. 21.

청소년 진로지도, 이렇게 하면 성공한다.

청소년 진로지도, 이렇게 하면 성공한다. 너무 좋은 글 링크해 보자.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40118030211700 일상이야기/교회교육 2014. 1. 20.

신영복교수의 독서칼럼-책은 먼 곳에서 찾아 온 벗입니다.

신영복교수의 독서칼럼책은 먼 곳에서 찾아 온 벗입니다. 국내 작가 중에서 존경하는 분들이 몇 분 있습니다. 그 중의 한분이 신영복 교수님입니다. 사유의 깊이와 폭을 가늠해 봐도 그렇고, 삶의 궤적을 탐색해 봐도 존경할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 우연히 그분의 독서칼럼을 읽었습니다. 그대로 두기에 아까워 이곳에 담아왔습니다. 신교수님은 독서삼독을 입버릇처럼 말씀하십니다. 먼저는 텍스트를 읽고, 그 다음 저자를 읽고, 마지막으로 독자 자신을 읽습니다. 마지막은 순서의 마지막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결론 궁극적 목적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신교수님의 독서에 대한 이상이 칼럼에도 오롯이 담겨 있습니다. 십여 년 전에 신교수님의 읽고 재미가 없어 책꽂이에 다시 꽂아 두었습니다. 그러나 2년 전 다시 읽기 시작했습니다. 8.. 일상이야기/목회칼럼 2014. 1. 20.

[중고등부칼럼] 큐티: 말씀 읽기의 혁명성

[중고등부칼럼]큐티: 말씀 읽기의 혁명성 말씀 읽기가 얼마나 혁명적인지 아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다. 중세 교회는 평신도들에게서 성경을 빼앗아 더 이상 스스로 읽지 못하게 했다. 천년 동안 성경은 사제들의 손에서 벗어나지 못했고, 성경을 읽다가 발각되면 사형에 처하는 경우도 있었다. 성경 읽기는 그만큼 위험하고 도발적인 사건이었다. 위클리프라는 신학자와 그 공동체는 자기들만의 성경 읽기와 공부를 하다 이단으로 찍혀 사형을 당했다. 그러나 루터로부터 시작된 종교개혁은 모든 신자들에게 성경을 읽도록 했다. 루터가 도피생활을 하면서 했던 것은 성경을 자기 민족의 언어로 바꾸는 것이다. 종교개혁의 모토 중의 하나인 ‘오직 성경으로sola scriptura’는 모든 권위는 성경에 있다는 뜻이지만 좀 더 엄밀한 의.. 일상이야기/목회칼럼 2014. 1. 18.

커피 가마솥에 끓이세요

커피 가마솥에 끓이세요 초딩 때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아버님이 어느 날 우리를 부르더니 하얀 잔에 든 까만 물을 마시라고 하신다. 달달했다. 뭐지? 까만 물을 쫄쫄 마시고 있는 동생과 나에게 아버님은 커피병을 보여 주면서 '커피'라고 말씀 하신다. 커피! 그렇다. 커피였다. 텔레비전 연속극에서 보던 그 커피였다. 돈 많은 여인이 커피숍에 들어가 약간 건방을 떨면서 마시는 그 커피. 아니면 깔끔한 아파트를 배경으로 부부가 식사후 마시는 그 커피다. 우린 그 장면을 텔레비전에서 종종 보았다. 부르지아의 대명사요, 신문물의 상징인 커피가 우리 집에 행차하신 것이다. 어떻게 해서 아버님이 커피를 입수하게 되었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 아마도 누군가 선물로 주신 것으로 기억한다. 중요한 건 그게 우리 집에 있다.. 일상이야기/팡......세 2014. 1. 17.

[중고등부칼럼] 큐티하면 이렇게 달라진다

[중고등부칼럼]큐티하면 이렇게 달라진다 큐티는 어원적으로 조용한 시간을 뜻하는 영어 'Quiet Time'의 이니셜이다. 사용하는의도는 하나님의 말씀을 조용히 묵상한다는 뜻이다. 묵상은 깊이 생각하는 것으로, 현재 우리가 쓰는 큐티QT는 하나님의 말씀을 조용히 깊이 생각하고 되새기는 것이다. 세상의 시끄러운 소리를 피해 은밀한 공간과 시간을 이용해 하나님의 말씀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큐티는 적극적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청종(聽從)하는 것이다. 말씀은 귀로 듣는 것이 아니고 마음으로 듣는다. 속담에 마음이 콩밭에 있다고 하지 않던가. 몸은 이곳에 함께 있지만 마음이 다른 곳에 있다면 진정 함께 있는 것이 아니다. 큐티는 세상의 욕심과 소음을 피해 하나님께 집중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마음을.. 일상이야기/목회칼럼 2014. 1. 11.

[목회칼럼] 왜?

[목회칼럼] 왜? 사랑의 교회가 지난 주 제직회를 했습니다. 일방적 다수결 원칙에 의해 일사천리로 진행되었습니다. 투표해야할 것도 박수로 끝냈습니다. 저는 그것이 나쁘다는 말을 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다만, 시기가 적절하지 못하다는 것입니다. 투명하게 밝혀야할 시기에 불투명하게 하고, 겸손하게 사죄해야할 시기에 타인을 비방한 것입니다. 곰곰히 생각해 봅시다. 한 때 사랑의(義)교회는 한국교회의 모델이자 희망이었습니다. 옥한흠 목사님은 완벽하지는 않았지만 주님을 닮기 위해 애쓰는 분이셨습니다. ‘목사들의 목사’라는 호칭이 부끄럽지 않을 만큼 목회자들의 세계에서도 정직하고 바른 분이셨습니다. 그런데 지금, @ 목사님을 존경하는 목사들은 (제가 알기로는 아무도 없습니다.) 물론 좋아하는 분들은 많습니다. 좋아.. 일상이야기/목회칼럼 2014. 1. 10.

[목회칼럼] 당신의 교회는 안녕하십니까?

목회칼럼당신의 교회는 안녕하십니까? 얼마 전 이상한 등기가 날아왔습니다. 보낸 이는 ‘부산교회’이고 받는 이는 ‘00교회 당회장 목사님’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뭔가 이상한 느낌이 들더니 혹시? ‘선’ ‘천’ ‘지’? 담임목사님께 가지고 갔더니 영력이 높으신 목사님은 뜯어보지도 않고 버리라고 하셨습니다. 호기심이 많은 저는 그냥 버릴 수 없어 사무실에 가져와 비밀문서의 인을 뗐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신천지 이만희 이름으로 온 편지였습니다. 첫인사입니다. “목사님, 안녕하십니까?” 참 뜨끔한 인사입니다. ‘네!’라고 말하기 힘들다는 것을 누구나 알기 때문입니다. 요지는 간단했습니다. 한국의 교회를 대표하는 한기총의 부정이 날로 드러나고, 교인들의 수는 격감(激減)하고 있으나 신천지는 날로 성장하고 있다는 것.. 일상이야기/목회칼럼 2014. 1. 10.

청년들이 교회를 떠나는 이유는?

청년들이 교회를 떠나는 이유는? 청년들이 급속하게 교회를 떠나고 있다. 전체 교인수 감소에 비해 4배나 많은 수치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하는 것일까? 교회세습과 목회자에 대한 불만 등이라고 하지만 좀더 본질적인 이유는 교회가 본질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즉 교회는 더이상 진리를 탐구하는 서사적 공동체가 아니라 부흥과 성장이라는 거룩한 단어로 포장된 '기업'이기 때문이다.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의 본질에 교회가 동참함으로 타사회적 본질이 흐려졌고, 청년들은 그런 교회에 존재해야할 이유가 상실된 것이다. 청년들이 교회를 떠나는 가장 많은 이유는 교회세습 등의 이미지 실추를 들고 있습니다. 이미지 실추라는 표현은 부적절해 보인다. 직설적으로 교회 안의 비리나 문제가 정화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교회가 더 이상.. 일상이야기/교회교육 2014. 1. 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