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일상이야기/목회칼럼334
육신을 따르는 자, 영을 따르는 자
안데르센: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다.
사남 어린이 방송
안녕하세요. 사남 어린이 여러분! 저는 @@@, @@@의 아버지입니다. 오늘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 싶은 이야기는 바른 언어생활입니다. 1.말을 하면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언행일치)중국의 성인 공자가 쓴 [논어]에 보면 이런 말이 있습니다.子曰 古者 言之不出 恥躬之不逮也(자왈 고자 언지불출 치궁지불체야)공자가 말하기를 옛 사람들이 말을 함부로 하지 않았던 것은 행동으로 실천하지 못할까 두려워 했기 때문이다.공자는 말을 해 놓고도 실천하지 못하게 되면 믿을 수 없는 사람이 되기 때문에 말을 아껴야 된다고 말합니다. 말은 말하는 사람의 생각과 인격을 드러냅니다. 그 사람이 어떤 말을 하느냐에 따라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를 보여 줍니다. 내일 6시에 운동장에서 만나자 약속을 하고 나타나지 않으면, 우리는 그..독서경영(1) 독서를 통해 통섭적 인재를 양성한다.
오리가 물에 빠져 죽다?
행운은 준비된 자에게만 주어진다.
맡은 자에게 구할 것은 충성이니라
뿌리의 원리를 통해 배우는 영적 성장 기술
후광효과(halo effect)
후광효과(halo effect) 후광효과(halo effect) 란 사람마다 여러 종류의 특징과 장단점이 있기 마련인데, 어느 한쪽을 좋게 생각하면 다른 부분도 모두 좋게 보려는 성향이다. 예를들면 치약을 선전하는 광고에서 일반 시민이 사용후기를 말하는 것보다, 의학전문가가 나와서 치약의 좋은 점을 설명하면 더 신뢰가 가는 것을 말한다. 이것을 다른 말로 권위자 보증이라고 말하는데, 한 부분에서 전문가이며 다른 부분에서도 역시 잘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가지 예를 더 들어보자. 당신은 대통령의 정치철학과 일을 좋아한다면 그가 어떤 일을 해도 옳다고 생각해 버리는 것이다. 솔로몬 애쉬 Solomon Asch는 먼저 갖게 된 정보가 후에 나오는 정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했다. 김씨 ..사자성어, 천려일실
천려일실(千慮一失) 사자성어에 천려일실(千慮一失)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천 번을 생각하면 한 번쯤은 실수 할 수 있다는 말로 누구나 사람은 실수할 수 있다는 말을 의미합니다. 천려일실의 이야기가 나오는 사기의 회음우렬전의 일부입니다. [조나라에 이좌거라는 지덕을 겸비한 장수가 있었다. 한나라 고조의 명에 따라 대군을 이끌고 조(趙)나라로 쳐들어간 한신(韓信)은 결전을 앞두고 '적장 이좌거(李左車)를 사로잡는 장병에게는 천금을 주겠다'고 선언했다. 결전 결과 조나라의 이좌거 군대는 괴멸했고, 이좌거는 포로가 되어 한신 앞에 끌려 나왔다. 한신은 손수 포박을 풀어 준 뒤 상석에 앉히고 주연을 베풀어 위로했다. 그리고 한나라의 천하 통일에 마지막 걸림돌로 남아 있는 연(燕)과 제(齊)에 대한 공략책을 물었다...728x90